우리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은 매일 접하고 있으며 특히 배달음식이나 커피 포장 시 일회용 용기, 빨대, 컵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1회용이라고 해도 플라스틱은 분리배출만 잘하게 된다면 충분히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모든 플라스틱 용기에는 세계적으로 공통된 기호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숫자로 확인하는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플라스틱 용기에 쓰인 숫자의 의미
플라스틱이 보기에 같은 재질처럼 보여도 소재에 따라서 7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기호 속의 숫자는 제품이 어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같은 플라스틱에도 1번부터 7번까지 다른 숫자가 있으며 모두 재질과 재활용 여부가 다르게 됩니다. 또한 페트병 재활용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가장 기본인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플라스틱 사용으로 얻는 편리함은 한순간이지만 완전하게 분해되기까지는 수백 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숫자 1번 - 폴리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 (PET/PETE)
숫자 1번 플라스틱은 생수 병이나 음료수 병 등의 페트병으로 생각하면 쉬우며 생수 병과 같이 투명한 것들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단단한 유색의 병은 변성 PET로 어떤 화학물이 들어있는지 확인이 어려워서 재활용이 불가합니다. 사용한 페트병을 재사용하려면 박테리아의 번식 위험이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한 번 사용 후 분리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늘어가면서 폐기물 처리 문제가 많은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문제가 페트병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포장재의 재질과 구조가 재활용에 쉽도록 설계하도록 페트병 라벨에 대한 등급을 최우수, 우수, 어려움 3단계로 구분하고 개정안을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숫자 2번 -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숫자 2번 플라스틱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독성에도 안전합니다. 내열 온도가 높아서 전자레인지에 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세제용기나 물통, 장난감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2번 플라스틱은 인체에도 무해해서 여러 번 재사용해도 가능합니다.
숫자 3번 - 폴리염화비닐 (PVC)
숫자 3번 플라스틱은 인조 가죽 신발이나 가방, 우비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PVC는 비닐로 착각하기 쉽지만 플라스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소재는 열에 약해서 태우면 독성가스나 환경호르몬이 다량 방출하기 때문에 재활용도 어렵습니다.
숫자 4번 -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숫자 4번 플라스틱은 비닐봉지, 필름, 포장재와 같이 단단하지 않고 투명한 제품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입니다. 4번 플라스틱도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 5번 - 폴리프로필렌 (PP)
숫자 5번 플라스틱은 밀폐용기나 주방용품, 자동차 내장재, 컵 등에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내열 온도가 높고 고온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으면서 환경호르몬도 배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건용 마스크나 의료 장비들을 만들 때 사용하고 있으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재활용도 가능합니다.
숫자 6번 - 폴리스티렌 (PS)
숫자 6번 플라스틱은 요구르트병, 계량용 컵으로 사용하는 폴리스티렌으로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가볍습니다. 하지만 열에 약하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발암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며 재활용은 불가능합니다.
숫자 7번 - 기타 (OTHER)
숫자 7번 플라스틱은 여러 가지 플라스틱을 혼합하거나 6번까지의 재질에 해당하지 않는 플라스틱을 의미합니다. 즉석밥 용기나 휴대폰 케이스, 치약 튜브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정확한 재질을 알 수 없어서 재활용의 여부 판단이 어렵습니다.
평소에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모여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올바른 분리배출과 줄이기 노력이 필요합니다. 누구나 쉽게 숫자로 확인하는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알뜰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취와 1인 가구 생활에 유용한 생활 정보와 살림 꿀팁 (0) | 2024.05.03 |
---|---|
화장실 물때와 곰팡이 제거와 사전 예방하는 방법 6가지 (0) | 2024.04.29 |
이사후 남은 다른 지역 종량제 쓰레기 봉투 사용 방법 (0) | 2024.04.22 |
실제로 살면서 느낀 아파트 탑층에 거주할 때 장점과 단점 (1) | 2024.04.18 |
에어컨 셀프 청소 순서별로 쉽게 하는 방법 (1) | 2024.04.16 |
댓글